본문 바로가기






이공간은 사람들에게 오픈하지않는 비밀의 방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개념들이 숨어있어요

아래 블러그를 키우고 있으니 아래를 이용바랍니다.





주식차트강좌

주식 차트 고수로 가기 위한 필수 관문2

by 차트지기 2023. 9. 30.
반응형

 

보조지표는 수학으로 이루 어진 함수들의 결과물입니다. 에너지의 흐름, 물리학의 힘의 분석하고 앞으로 힘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해 나갈 것인지를 쉽게 계산할 수 있도록 만든 게 보조지표입니다. 우리는 그 어려운 수학을 잘할 필요가 없는 겁니다. 우리는 그것을 활용하기만 하면 되는 것이죠. 이번 강좌는 보조지표가 보조가 아닌 차트에서 중심 지표임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주식차트에서 보조지표가 가지는 의미

 

차트 보조지표는 주식 차트의 움직임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학적 계산 방법입니다. 주식의 가격, 거래량, 이동 평균, 변동성 등을 기반으로 만들어지며, 주식의 추세, 모멘텀, 과매수/과매도 여부 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차트 보조지표는 크게 추세지표, 모멘텀지표, 탄력성지표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추세지표는 주식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대표적인 추세지표로는 이동평균선, MACD, 스토캐스틱 등이 있습니다. 모멘텀지표는 주식의 모멘텀, 즉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대표적인 모멘텀지표로는 RSI, CCI, ADX 등이 있습니다. 탄력성지표는 주식의 과매수/과매도 여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대표적인 탄력성지표로는 Bollinger Bands, Stochastic Oscillator 등이 있습니다.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만든 보조지표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1997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리처드 파인만이 개발한 파인만 리트머스이고, 다른 하나는 2012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피터 힌즈와 프레드릭 샌더스가 개발한 힌즈 샌더스 지표입니다.
파인만 리트머스는 주식의 과매수/과매도 여부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파인만은 주식 시장을 액체와 비등점으로 비유하여, 과매수 상태에서는 주식 시장이 끓어오르는 것처럼 급격한 변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과매도 상태에서는 주식 시장이 얼어붙는 것처럼 움직임이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습니다. 파인만 리트머스는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주식의 과매수/과매도 여부를 판단합니다.
힌즈 샌더스 지표는 주식의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이러듯 보조지표는 뛰어난 사람들이 만든 수학적 지표임에도 막상 보조지표를 사용해 보면 맞을 때도 있고 틀릴 때도 정말 많은 이름 그대로 그냥 보조지표인 겁니다.
그러면 보조지표가 있으면 당연히 메인지표가 있어야 하는데 차트매매에 메인지표라는 용어가 있나요? 없어요. 보조지표가 메인지표이기 때문입니다.

신뢰할 수 있는 매수 매도 신호 = f( 주가(H 고가, L 저가, O 시가, C 종가) + 이동평균선 + 거래량 + 보조지표 )

위 공식을 보듯이 보조지표를 빼면 누구든지 검색만 하면 바로 알 수 있는 정보입니다. 보조지표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차트분석의 능력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이동평균선도 하나의 보조지표이지만 이동평균선은 모든 보조지표의 근간이 되는 지표입니다. 이동평균선이 없으면 보조지표는 의미가 없습니다.
 

2. 주식차트에서 보조지표를 활용하는 방법

 

한 개의 보조지표보다는 여러 개의 보조지표를 조합하면 조금 더 신뢰할 수 있는 신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보조지표를 공부한 사람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현실은 보조지표를 역이용하는 세력들도 있으며 시장의 영향에 따라 보조지표가 신뢰성이 떨어지는 현상을 우리는 경험하게 됩니다. 

 

보조지표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일봉차트는 보지 마세요. 

반드시 주봉과 월봉차트에서만 보조지표를 활용해야 합니다.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풀어볼게요. 주식차트는 크게 장기이동평균선이 아래에 있는 정배열과 단기이동 평균선이 아래에 있는 역배열 구간이 있습니다.
상승 중인 정배열 매매를 대부분 많이 하실 거예요. 정배열 매매는 1년 이상 상승하는 중대형주를 매매하는 방법이며 역배열 매매는 중소형주에 더 적합합니다.
중소형주 정배열 매매는 역배열 구간에서 대시세 매집 신호가 있을 때만 엘리엇 파동으로 정배열 매매가 가능합니다.
다시 돌아가 대시세 역배열 구간에서 보조지표의 신뢰성이 급격히 올라갑니다.
결론적으로 주봉, 월봉차트에서 역배열 구간에서 보조지표를 활용하여 공부하고 연구해야 대시세 신호를 찾을 수 있으며 이신호를 바탕으로
정배열매매, 역배열매매 모두 가능합니다.

 

3. 보조지표의 예시

 

DMI보조지표 많이들 알고 계시죠? 추세지표인 DMI지표는 매수를 의미하는 diplus신호, 매도를 의미하는 diminus신호, 추세강도를 나타내는 adx신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흔히를 diplus가 dimius상향 돌파시 우린 매수신호로 잡고 diminus가 diplus 상향돌파하면 매도신호를 사용하실 거예요.
주가를 하향 추세를 타면 장기이평선이 역배열 상태로 갑니다. 역배열로 진입하면 바닥을 바로 다지고 상승하는 삼성전자와 같은 우량회사가 있을 것이며 역배열 진입 후에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부실회사가 있을 겁니다. 역배열 속에 계속 하락하다 악재 공시나 뉴스가 나오면 개미들은 공포 속에서 투매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실제로는 회사가 망하지 않지만 심리적 투매를 이용하여 세력들은 매집을 합니다.
투매를 어떻게 차트로 알 수 있나요? 강한 거래량이 발생한 음봉이 개미투매인가요?
주봉, 월봉차트에서 diminus-diplus>50 이게 투매 신호입니다.

이신호는 대시세 상승으로 갈 수 있는 하나의 신호입니다.

 

월봉차트
<그림1> 키네마스터 월봉차트


위차트에서 보이는 보라색 화살표가 개미투매신호입니다. 살짝 개념만 설명했지만 이건 비법입니다.


이렇듯 보조지표는 모두가 알고 있는 단순한 사고에서 벗어나 숨어있는 의미를 찾아내어 활용해야 차트를 보는 눈이 생깁니다.

 

이전 강좌

다음 강좌

 

 

1. 이곳보다 쉽운 차트 공부하는 곳(바로가기)

2. 급등주 종목 받기(바로가기)

반응형


이 곳은 애드센스를 통과를 위한 테스트 블러그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개념적 강좌들이니 가볍게 읽으시고

아래 블러그를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