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공간은 사람들에게 오픈하지않는 비밀의 방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개념들이 숨어있어요

아래 블러그를 키우고 있으니 아래를 이용바랍니다.





주식차트강좌

대시세 종목을 공략하는 방법(종합)

by 차트지기 2023. 10. 1.
반응형

대시세 종목을 공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주식 매매를 해본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은 한 번쯤 해보았을 겁니다. 대시세가 발생한 20~30여 종목으로 계속적으로 공부하다 보면  주봉과 월봉에서 어떤 의미 있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1. 대시세 차트 매매를 위한 종합적 시각

 

필자가 생각하는 대시세 상승이란 5년 또는 10년 주기로 발생하며 시세분출 시 저점대비 300% 이상 상승하는 파동을 말하며 대부분 장기 이동평균선의 역배열 침체구간 속에 세력들의 매집 후 발생하는 단기, 중기, 장기 상승하는 파동을 말합니다. 일부 종목을 장기 이동평균선의 역배열 침체 없이 박스권 유지하다가 박스권을 돌파해서 대상승을 하는 종목도 있지만 그런 종목의 비율이 많지 않으므로 여기서 말하는 대시세는 장기 이동 평균선의 역배열 침제 후 상승하는 종목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종목선정의 범위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주가 지수에 직접적 영향을 받는 대형주와 재무제표가 너무 좋은 것은  대상 종목이 아닙니다.

관리종목이랑 2년 내에 회사가 망하거나 상장폐지될 가능성이 높은 종목은 열외 합니다.

이제 비중 투자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주식 매매는 훌륭한 회사가 아닌 망하지 않는 회사가 저평가되었다가 상승 매수신호가 날 올 때 사서 고평가에서 파는 것입니다. 재무제표가 좋아도 분식회계, 횡령 등 위험은 언제나 찾아올 수 있으며

한 종목에 많은 돈이 일시적으로 들어가면 세력들의 타깃이 되어 공격당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비중 조절은 매우 중요합니다.

한 종목 비중은 종목당 5%로 정합니다.  만약 바닥을 이탈한다면 2.5%를 손절매하며 3~6월 이내 다시 매수신호가 나오면 2.5% 다시 매수하며 최종 비중은 원래대로 5%입니다. 만약 1년 후 매수신호가 나올 시 5%를 매수하여 7.5%를 맞추며 2년 후에 매수신호가 나올 시 7.5%를 매수하여 최종 비중은 10%입니다. 주식은 심리적으로 답답하거나 급한 사람이 불리합니다. 비중이 높은데 주가가 횡보하거나 하락하면 세력들에게 심리적으로 이끌러 댕기기 쉽습니다.

대시세를 만드는 세력주는 아무리 매수 급소에 진입해도 1개월에서 36개월 투자해야 합니다. 주가 횡보하면 시간당 수익률이 떨어지기에 1년마다 매수신호가 다시 나온다면 추가 매수로 대응하면 주가 횡보에 따른 수익감소를 막을 수 있습니다. 

전에도 말씀드렸듯이 투자금은 신뢰할 수 있는 My AI 매수신호를 찾은 후 실전 경험치가 쌓이기 전까지는 자신의 월급 또는 여유돈의 10%만 투자합니다. 주식 매매의 시작과 기본은 차트분석입니다. My AI 매수 신호를 만들고 그 신호를 바탕으로 차트 분석을 하다 보면 가치투자가들이 말하는 왜 중장기 투자를 해야 하는지  차트에서 모두 말해줍니다.

그럼 이젠 어떤 종목으로 MY AI 매수 신호를 만들어야 하며 차트를 공부해야지 말씀드릴게요.

먼저 검색기에 최근 1~5년 사이 3개월간 300% 이상 급등한 종목을 50개 정도 검색합니다. 50개를 가지고 My AI 매수 신호를 만들면 되는데 매수 신호가 잘 맞는 10~20개를 선정해서 끊임없이 My AI 신호를 업그레이드해야 하며 차트 공부를 해야 합니다. 공부한 만큼 좋은 My AI 매수 신호를 만들 수 있으며 좋은 My AI 매수 신호를 만들어야 차트를 보는 눈이 넓어지게 됩니다. 특정종목은 신호에 잘 반응하지 않는 건 갑자기 이슈가 되어버린 종목들이나 긴 시간 동안 조금씩 매집한 종목들은 일반적으로 My AI 매수 신호로 찾아내기가 힘듭니다.

 

2. 대시세 종목을 찾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

우리가 대시세 종목을 찾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봉, 월봉사에서 발생되는 My AI 매수 신호와 My AI 매도 신호를 만들어서 활용할 수 있어야 가능합니다. 매수 신호에 대해서 지난 강좌에서 언급해드셨으며 이번에는 My AI 매도 신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매수 신호를 만드는 것보다 매도 신호를 만드는 의외로 간단합니다. My AI 매도 신호 또한 주봉, 월봉 모두 필요합니다.

 

매도 신호는 주봉은 양봉, 음봉에서 월봉은 양봉에서 매도 신호를 만들어야 합니다.

 

매도 신호는 매수신호와 다르게 양봉길이, 이격도, 거래량 등을 이용하여 5~10개 이내로 매도 신호만 만들면 됩니다.

신호의 신뢰성을 위해서 주봉과 월봉 모두 만들어야 합니다. 이동평균선은 120일, 240,480일 이동 평균선 3개를 사용합니다. 

 

월봉차트
<그림1> 플레이위드 월봉차트

<그림 1>은 My AI 매도 신호의 한 예시로 보여드렸고 어떻게 코딩해야 하는지는 추후 강좌에서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3.  요약하며

주식 매매를 해본 사람이라면 모두 경험하듯이 내가 사면 내리고 내가 팔면 오른다는 사실입니다. 물려도 대시세 구간에서 물리면 시간이 지나면 본전 회복은 물론 익절 가능성이 높고, 작은 파동을 보고 들어갔다 손절 없이 물리면 시간이 지나도 본인의 매수 가격에 매도하기도 힘드실 겁니다. 오늘은 대시세 종목을 공략에 필요한 것에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My AI 매도 신호의 한 예시 차트를 보여드렸습니다.

 

 

이전 강좌

다음 강좌

 

 

1. 이곳보다 쉽운 차트 공부하는 곳(바로가기)

2. 급등주 종목 받기(바로가기)

 

 

 

반응형


이 곳은 애드센스를 통과를 위한 테스트 블러그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개념적 강좌들이니 가볍게 읽으시고

아래 블러그를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