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공간은 사람들에게 오픈하지않는 비밀의 방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개념들이 숨어있어요

아래 블러그를 키우고 있으니 아래를 이용바랍니다.





주식차트강좌

DMI 보조 지표로 대시세 찾는방법

by 차트지기 2023. 10. 2.
반응형

주식하시는 분들 중에 DMI 보조 지표를 모르시는 분은 없죠? DMI 보조 지표 띄워서 Diplus, Diminus, ADX 이용해서 눈 빠지게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를 찾는 것 모두 부질없다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럼 DMI 보조 지표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DMI 보조 지표의 개요

DMI 지표는 Directional Movement Index의 약자로, 주식 시장에서 트렌드의 강도와 방향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입니다. DMI는 주로 움직이는 평균선과 함께 사용되며, 추세 추종 및 반전 신호를 확인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DMI 지표는 Diplus(+DI), Diminus(-DI), ADX(Average Directional Index)의 세 가지 선으로 구성됩니다.
DIplus 값은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상승 추세를 나타내는 주가 움직임을 퍼센트로 표시한 것입니다.
DIplus가 상승하면 주가의 상승 추세가 강해지고, 하락하면 주가의 상승 추세가 약해집니다.
DI+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됩니다:
TR (True Range) 계산: TR은 현재 기간의 가격 변동폭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고가(High)와 저가(Low) 사이의 차이, 또는 전일 종가(Close)와 고가(High), 저가(Low) 중 가장 큰 차이로 계산됩니다.
DM+ (Positive Directional Movement): 현재 기간에서 이전 기간과 비교하여 주가 상승분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만약 현재 기간의 고점(High)이 이전 기간의 고점보다 크다면, DM+ 값은 해당 차이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설정됩니다.
TR14 및 DM14 계산: TR14은 최근 14개 기간 동안의 True Range 값을 평균화한 값입니다. DM14은 최근 14개 기간 동안의 Positive Directional Movement 값을 평균화한 값입니다.
+DI 계산: +DI 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DM14 / TR14) * 100

DIminus 값은 최근 일정 기간 동안 하락 추세를 나타내는 주가 움직임을 퍼센트로 표시한 것입니다
마이너스 DI가 상승하면 주가의 하락 추세가 강해지고, 하락하면 주가의 하락 추세가 약해집니다.

ADX (Average Directional Index)는 주식 시장에서 트렌드의 강도와 방향성을 측정하는 보조지표입니다. 
ADX는 DMI (Directional Movement Index) 지표와 함께 사용되며, 특정 기간 동안의 상승 및 하락 추세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트렌드의 강도를 나타냅니다.
ADX 지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DI 및 -DI 계산: ADX 지표를 계산하기 전에 먼저 +DI (Positive Directional Indicator)와 -DI (Negative Directional Indicator) 값을 계산합니다. 
이들은 주가 움직임에서 상승 추세 및 하락 추세의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TR (True Range) 계산: TR은 현재 기간의 가격 변동 범위로, 고가(High)와 저가(Low) 사이의 차이 중 가장 큰 값을 사용합니다.
DX (Directional Movement Index): +DI와 -DI 값의 차이를 절댓값으로 나타내고, (+DI - (-DI)) / (+DI + (-DI)) * 100으로 계산하여 DX 값을 얻습니다.
ADX 계산: ADX 값은 일정 기간 동안 DX 값들을 평균화하여 구합니다. 일반적으로 14일 동안의 평균값을 사용합니다.
ADX 지표는 0부터 100까지 범위에서 표시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해석됩니다:

0-25: 약한 트렌드나 트렌드 없음
25-50: 중간 정도로 강한 트렌드
50 이상: 매우 강한 트렌드

주식 시장에서 ADX 지표는 주식 종목이 어떤 종류의 추세에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ADX 값이 25 이상인 경우에는 상당한 힘을 가진 상승 또는 하락 추세가 있을 수 있습니다.
ADX 값이 낮으면 시장이 비트윈추세(수평 혹은 정체 구간)에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DMI 보조 지표의 활용

차트 매매에 있어 추세 지표는 매우 중요합니다. 추세 신호의 시작이 매수 시점이기 때문입니다.

추세 지표인 DMI 보조 지표의 기본값은 12, 14입니다.

DMI 보조 지표의 첫 번째 활용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다음은 월봉 차트에서 활용 가능하며 한 달, 두 달, 섣달 기준입니다. 월봉 차트에서 코딩하셔서 여러 차트를 돌려보세요. 차트 공부 제대로 안 하신 분들은 깜짝 놀라실 겁니다. 모든 보조 지표 신호는 어떤 구간에서 발생했는지가 중요합니다.

Crossup( Diplus(1), Diminus(1) ) and

Crossup( Diplus(2), Diminus(2) ) and

Crossup( Diplus(3), Diminus(3) )

 

다음은 한 달, 두 달, 섣달 같은 기간의 주봉차트에 사용하는 코딩입니다.

period=4;

Crossup( Diplus(period), Diminus(period) ) and

Crossup( Diplus(period*2), Diminus(period*2) ) and

Crossup( Diplus(period*3), Diminus(period*3) )"

"period=4;" 변수라고 하는데 이것을 사용하는 이유는 diplus(14), RSI(14), CCI(9) 등등 보조 지표마다 기본값이 다른데 일봉, 주봉, 월봉마다 수치를 다르게 적용해야 하며 최적화 수치를 찾아야 할 겁니다.

테스트할 때 코팅 라인이 10줄이면 복사하더라도 수치를 10번 바꾸어야 하기에 시간과 막일을 아끼기 위해서 변수를 이용합니다. 테스트를 끝난 실사용 코딩에서 변수를 삭제하고 수치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두 번째 활용 방법은 전에 올렸던 글에도 소개해드렸는데 개미들의 투매 신호입니다.

주식 시장은 누군가는 손절을 해야지 누군가는 익절을 합니다. 모두가 익절 할 수 있는 구간은 지수가 대상승하는 구간뿐이며 이것을 과매수, 거품이라 합니다. 주봉과 월봉상에서 사용해야 합니다.

 

Diminus(?)-Diplus(?)>?

 

위 코드는 한 달 동안 산 사람보다 판 사람들이 압도적 많았다는 신호입니다. 투매 신호입니다.

주가 바닥가 바닥일 때 한정합니다. 바닥에서 이런 신호가 발생 시는 망하지 않는 회사라면 매수 관심 구간입니다.

바로 매수 아닙니다. 매수는 My AI 매수 신호가 뜰 때 합니다. 이것은 아는 사람도 많지 않고 안 알려주는 히든 정보입니다.

주봉차트
<그림1> 삼성전자 주봉차트

<그림 1> 삼성전자는 차트상 역배열이 많이 없네요. 좌측 역배열은  11(투매) 신호가 없죠. 우측 역배열일 때 11(투매) 신호가 나온 후에야 상승하는 거 보이시죠.  이런 신호가 없다면 수없이 발생되는  음봉과 거래량만으로 바닥 신호를 찾을 수 있을까요?

 

 

반응형


이 곳은 애드센스를 통과를 위한 테스트 블러그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개념적 강좌들이니 가볍게 읽으시고

아래 블러그를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