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공간은 사람들에게 오픈하지않는 비밀의 방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개념들이 숨어있어요

아래 블러그를 키우고 있으니 아래를 이용바랍니다.





주식차트강좌

주식 초보자들을 위한 정배열 신호와 역배열 신호

by 차트지기 2023. 10. 6.
반응형

주식 투자에 있어 차트상에서 하지 말아야 하는 구간이 있습니다. 상승의 끝 고점구간입니다.

이번 강좌는 차트 매매를 하는 주식 초보자들을 위해서 꼭 필요한 선물을 준비했으니 끝까지

필독하시길 바랍니다.

 

1. 초보자들의 착시 현상

아래 차트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월봉차트
<그림1> 삼성전자 월봉차트

<그림 1>은 1997년부터 2023까지 삼성 전자의 월봉 차트입니다. 삼성전자 상승 시 2년 동안 상승합니다.

어떤 구간이 가장 많이 상승했을까요?  2016년부터 두 번의 큰 대상승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틀렸습니다. 최근 상승의  두 번 모두 약 2배의 상승 파동이 있었습니다. 정말 큰 상승은 1998년 하반기부터 2000년 중순까지 약 10배의 상승이 있었습니다. 마지막 상승에 올라타면 크게 먹을 수 있을 것 같은 착각을 만듭니다.

혹자는 로그차트를 사용하라는 말도 있는데 로그차트는 로크차트 나름의 불편함이 있습니다. 

 

2. 대상승의 고점을 어떻게 찾을까?

대부분의 주식 전문가들에게 고점을 어떻게 찾아요라고 물으면 일봉상 쌍봉 고점이나 삼중 고점이라 답할 겁니다.

차트의 형태를 보여주며 여러 패턴을 보여줍니다.

필자는 이렇게 정의합니다. 개미들이 최고로 많이 매수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누구나 아는 뻔한 답을 한다고요?

 

이제부터 "거래금지(월봉)"이란 신호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BarsSince(
c > avg(c,24) and
o > avg(c,24) and
diplus(1)-diminus(1) > 90
) < 36

 

정말 간단한 코드네요.

"c > avg(c,24)"의 의미는  종가가 이동평균선 24(480일, 2년)보다 위에 있다.

"o > avg(c,24)"의 의미는  시가가 이동평균선 24(480일, 2년)보다 위에 있다.

"diplus(1)-diminus(1) > 90"의 의미는 한 달 동안 매수가 매도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주가가 어디에 위치해 있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집니다.

상승 초입은 세력이 주가를 올리려 하고 있다고 해석하시면 되고 초입이 아닐 땐 개미들이 많이 사고 있다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BarsSince() < 36의 의미는 3년 동안(36) 화살표 보여주세요. 왜 3년 동안 화살표를 표기할까요?

"3년 동안 이종목은 쳐다보지 마세요"라는 의미입니다. 필자가 만든 겁니다. 아래 차트를 봐주세요.

월봉차트
<그림1> 케이피엠테크 월봉차트

모두 네 번의 큰 상승이 있었습니다. 첫 번째와 세 번째는 전고점을 돌파하는 상승초입에 신호가 발생했습니다.

두 번째와 네 번째 장대양봉이 초입이 아니며 240일선에 위로 이격 후에 발생했습니다. 두 번째와 네 번째는 마지막 상승(꼭지)이라는 겁니다. 월봉에서 위 신호가 뜨면 개미들이 압도적 매수하고 있다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금지구간이라고 이름을 붙인 이유는 초보들은 초입이든지 아니든지 매수하지 마시는 말라는 뜻입니다.

 

3. 마무리하며

금지구간 신호를 꼭 받아가시어 실전에 활용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필자가 여러 차트 강좌들을 포스트 했는데 주식 초보자, 차트 초보자들은 너무 어렵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어렵다고 피하시지 마시고 직접 코딩도 해보시고 반복적으로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주식 공부의 기초는 차트 공부이며 차트 공부의 기초는 주봉, 월봉 차트에서 본인이 직접 My 매수 신호를 만들어 보면서 차트를 보는 눈을 키워나가는 겁니다. 차트 기초를 닦은 후에 단타를 하시든지 가치투자를 하시든지 테마주 매매를 하시든지 자신에게 맞는 매매를 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린 님들을 위한 추가적인 필수 기본 신호를 드립니다.

 

역배열(월봉)

avg(c,48) > avg(c,24) and
avg(c,24) > avg(c,12)

 

역배열(주봉)

avg(c,192) > avg(c,96) and
avg(c,96) > avg(c,48) and
avg(c,48) > avg(c,24)

 

역배열(일봉)

avg(c,960) > avg(c,480) and
avg(c,480) > avg(c,240) and
avg(c,240) > avg(c,120)

 

정배열(월봉)

avg(c,48) < avg(c,24) and
avg(c,24) < avg(c,12)

 

정배열(주봉)

avg(c,192) < avg(c,96) and
avg(c,96) < avg(c,48) and
avg(c,48) ><avg(c,24)

 

정배열(일봉)

avg(c,960) < avg(c,480) and
avg(c,480) < avg(c,240) and
avg(c,240) < avg(c,120)

 

 

 

거래량 역배열(월봉)

avg(v,24) > avg(v,12) and
avg(v,12) > avg(v,6)

 

거래량 역배열(주봉)

avg(v,120) > avg(v,60) and
avg(v,60) > avg(v,30)

 

 

반응형


이 곳은 애드센스를 통과를 위한 테스트 블러그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개념적 강좌들이니 가볍게 읽으시고

아래 블러그를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