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공간은 사람들에게 오픈하지않는 비밀의 방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개념들이 숨어있어요

아래 블러그를 키우고 있으니 아래를 이용바랍니다.





주식차트강좌

피봇 포인트(Pivot Point)는 지지, 저항을 나타내는 보조 지표

by 차트지기 2023. 10. 3.
반응형

피봇 보조지표는 다른 보조지표와 다르게 지지와 저항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단기적으로 매매하는 트레이더들이 많이 사용하는 지표지만 중장기적으로도 지지와 저항의 기준가격으로 해석할 수 있는 지표라 하겠습니다.

 

1. 피봇 포인트(Pivot Point) 보조 지표의 개요

피봇 포인트(Pivot Point)는 트레이더들이 주로 사용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로, 주식, 외환, 선물 등의 금융 시장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는 보조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지표는 고가, 저가, 종가를 바탕으로 계산되며, 가격 움직임에 대한 가능성 있는 지지와 저항 레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거래자들은 진입점과 출구점을 결정하게 됩니다. 피벗 포인트는 이전의 고가(High), 저가(Low), 종가(Close)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기본적인 피벗 포인트 수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ivot Point (P) = (High + Low + Close) / 3


이 계산된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상위 저항선(R1, R2 등)과 하위 지지선(S1, S2 등)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지선과 저항선은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R1 = (P x 2) - Low
S1 = (P x 2) - High
R2 = P + (High - Low)
S2 = P - (High - Low)

여기서 High는 이전 거래일의 최고가, Low는 최저가, Close는 종가를 의미합니다. 
이 피벗 포인트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지지선(Supports)과 저항선(Resistances)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R1, R2는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저항 수준을 나타내며, S1, S2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지지 수준을 나타냅니다.

주식 매매자들은 이렇게 결정된 피벗 포인트와 그 주변의 지지 및 저항 선을 활용하여 시장에서 진입점 및 청산점을 결정하곤 합니다. 
예를 들어 가격이 피벗 포인트 아래로 내려갈 경우 S1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고 매도 위치를 찾습니다. 
반대로 가격이 피벗 포인트 위로 올라갈 경우 R1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매수 위치를 찾습니다.

피벗 포인트 분석은 주로 단기 거래에 사용되지만 장기 거래에서도 유효할 수 있습니다. 일일 차트에서는 전일의 고가, 저가, 종가를 이용하여 오늘의 피벗 포인트를 계산하지만 주간 차트에서는 전주의 고가, 저가, 종가를 이용하여 이번 주의 피벗 포인트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피벗 포인트는 가격의 움직임에 대한 가능성 있는 지지와 저항 레벨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보조 지표입니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거래 결정을 내리는 것은 위험하며, 다른 보조 지표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피벗 포인트를 활용하여 더욱 세밀하고 정확한 거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2. 피봇 포인트(Pivot Point) 보조 지표의 활용 방법

피봇(Pivot)을 이용하여 신호를 하나 만들어 봅니다.

@피봇(월봉) 신호 코드입니다.

!(c <piv3(0)) and
piv1(0)-piv4(0)<Lowest(piv1(1)-piv4(1),12) and
piv1(0)-piv1(1)<0 and
piv2(0)-piv2(1)<0 and
piv3(0)-piv3(1)>0 and
piv4(0)-piv4(1)>0

 

피봇 신호는 지지 저항을 나타내기에 그 가격을 이탈 후 다른 신호가 발생 시 관심 있게 보셔야 합니다.

 

월봉차트
<그림1> 진원생명과학 월봉차트

 

위 <그림 1>에서 보시듯이 @피봇+역배열(월봉)을 지지 신호 아래에서 큰 상승이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코딩하는 팁을 드리자면 코딩할 때 내가 다시 봤을 때 이해하기 쉽도록 띄어쓰기나 줄 나눔 등으로 가독성이 좋게 코딩하셔야 하며, 위에 그림처럼 짧은 코딩들을 하나의 부품처럼 모아두었다가 필요할 때 붙어 넣기로 My AI 매수 신호를 만들어 나가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위에 piv1(), piv2(), piv3(), piv4()라는 함수는 키움에서 제공되지 않습니다. 사용자 함수를  만들어야 하는데 사용자 함수 만드는 방법은 이전 글에 포스트해 드렸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먼저 사용자 함수 새로 만들기로 들어가서 "보조 지표 Pivot" 설정에 들어가시면 지지 1, 지지 2, 저항 1, 저항 2 등이 있는데 그것을 복사해서 기간 변수를 넣어주시면 됩니다. 처음 접하시면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데 이전글 참고해 주시고 추후 포스팅할 때 한번 더 설명하겠습니다.

반응형


이 곳은 애드센스를 통과를 위한 테스트 블러그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개념적 강좌들이니 가볍게 읽으시고

아래 블러그를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