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공간은 사람들에게 오픈하지않는 비밀의 방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개념들이 숨어있어요

아래 블러그를 키우고 있으니 아래를 이용바랍니다.





주식차트강좌

스토캐스틱(Stochastic) 어디까지 사용해봤니?

by 차트지기 2023. 10. 3.
반응형

구독자분들은 스토캐스틱(Stochastic)을 어디까지 사용해 보셨나요?

구독자분께서 오늘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다면 3개의 유용한 My AI 매수 신호를 얻어가실 수 있으며 어떤 강좌나 유튜브 영상에서 얻을 수 없는 저자의 창작물이니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1. 스토캐스틱(Stochastic) 보조 지표의 개요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는 조지 레인(George Lane)에 의해 대중화된 오실레이터이며 주식 시장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 도구 중 하나로, 가격의 상승과 하락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는 거래 범위 내에서 현재 가격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파악하여 과매수와 과매도 상태를 판단합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는 두 개의 선으로 구성됩니다. 첫 번째 선은 % K라고 불리며, 최근 N일 동안의 종가와 거래 범위 중 최저가 사이의 관계를 계산합니다. 이 값을 통해 현재 가격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어느 정도 수준에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두 번째 선은 % D라고 불리며, % K값의 이동 평균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3일 이동 평균을 사용합니다. % D값은 % K값보다 부드럽게 움직이며, 주식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잡음과 변동성을 완화시켜 줍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의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Fast % K = (오늘의 종가 - 최근 n일중 장중 최저가)/(최근 n일중 최고가-최근 n일중 장중 최저가) X100
Slow % K = (오늘의 종가 - 최근 n일중 장중 최저가)의 3일 이동평균/(최근 n일중 최고가-최근 n일중 장중 최저가)의 3일 이동평균 X100
Slow % D = Slow % K의 3일 이동평균

 

주식 차트에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를 적용하면, 그래프 상에서 0부터 100까지의 값으로 표현됩니다. 일반적으로 20 아래로 내려가면 과매도 상태로 간주되며 매수 신호로 해석됩니다. 반대로 80 위로 올라가면 과매수 상태로 간주되며 매도 신호로 해석됩니다.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는 추세 전환 시기를 예측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주식 가격이 하락 추세에 있을 때 스토캐스틱 지수가 20 아래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면 매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주식 가격이 상승 추세에 있을 때 스토캐스틱 지수가 80 위로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면 매도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2. 스토캐스틱(Stochastic) 보조 지표의 활용 방법

두 가지 신호를 만들 텐데 먼저 스톡캐스틱 월봉 매수 신호를 코딩해 보겠습니다.

stochasticsfast(48)
> eavg(Stochasticsfast(48),6) and
StochasticsSlow(24,20) < 20 and
stochasticsSlow(12,5)
> eavg(StochasticsSlow(12,5),7)

 

다음은 스톡캐스틱 오실레이터 매수 신호를 코딩해 보겠습니다.

eavg(Stochasticsfast(12),26) - eavg(Stochasticsslow(12,26),2) > 0

 

월봉차트
<그림1> 플레이위드 월봉차트

<그림 1>은 위에 코드를 사용하시면 여러분도 누구나 월봉 차트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코드는 역배열(월봉)이며  <그림 1>에 나와있는 열 배 열 신호는  아래 코드보다 많이 업그레이드된 버전입니다.

구독자분께서 도 아래 기본 코드를 이용해서 더욱 신뢰성 있는 신호로 업그레이드해서 만드시길 바라며 수없이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제작하시다 보면 차트를 보는 시야가 달라질 것이라 확신합니다.

역배열 코드입니다.

avg(c,48)>avg(c,24) and
avg(c,24)>avg(c,12)

 

스톡캐스틱 보조 지표의 가장 큰 장점이 단일 신호로 장기 추세의 바닥을 정확히 찾을 수 있습니다.

스톡캐스틱 보조 지표가 마법의 지표라는 이유가 있는 듯합니다.

 

물론 보다 정확한 My AI 매수 신호를 찾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신호가 필요합니다. 신호의 범위를 작게 수치를 적용했기에 침체에 깊게 들어온 중소형주에서만 신호가 발생활 겁니다. 주봉에 사용하기 위해서 상수값 변경 꼭 필요하며 주봉 상수값은 다른 모든 강좌들을 참조하시어 본인만의 My AI 매수 신호(주봉)를 만드어서 유용하게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3. 정리하며

오늘은 마법의 지표라는 스토캐스틱(Stochastic)을 활용하여 My AI 매수 신호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별칭답게 스토캐스틱 보조지표는 주봉 월봉상에서도 좋은 신호를 보내주고 있습니다.

반응형


이 곳은 애드센스를 통과를 위한 테스트 블러그입니다.

종목의 대바닥을 찾아서 대상승 종목을 매매하기 위해서

개념적 강좌들이니 가볍게 읽으시고

아래 블러그를 이용해주시길 바랍니다.